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청년내일채움공제 2025: 신청 자격, 지원금, 목돈 마련 핵심 정리
1. 청년내일채움공제 개요
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·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의 장기근속과 목돈 마련을 돕는 정부 지원 제도입니다. 청년, 기업, 그리고 정부가 공동으로 공제금을 적립하여 청년이 2년간 근속하면 만기 시 공제금 전액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이 제도는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※ 중요 안내: 2024년부터 청년내일채움공제 신규 신청은 중단되었으며, 2023년까지 가입한 청년들만 지원을 계속 받을 수 있습니다. 현재 운영 중인 유사 제도인 '내일채움공제'와 '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'와 혼동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.
2. 지원 대상 및 제외 대상
청년내일채움공제 (2023년 이전 가입자 대상)
- 지원 대상: 2023년까지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하여 중소·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 근로자.
- 제외 대상: 2024년 이후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은 신규 가입이 불가합니다. 기존 가입자 중에서도 공제 계약이 중도 해지되거나, 기업이 대기업으로 변경되는 등 특정 사유가 발생하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
3. 지원 항목 및 지급 기준 (2023년까지 가입자 기준)
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과 기업, 정부가 함께 납입하여 2년 만기 시 총 1,2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하는 구조입니다.
구분 | 납입 금액 | 적립 기간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청년 납입금 | 300만 원 | 24개월 (매월 12.5만 원) | 매월 청년 본인 명의 계좌에서 자동이체 |
기업 기여금 | 300만 원 | 24개월 | 정부 지원금을 기업이 받아 청년에게 적립 |
정부 지원금 | 600만 원 | 24개월 (5회 분할 적립) | 1, 6, 12, 18, 24개월차에 적립 |
총 만기금 | 1,200만 원 | 2년 근속 시 | 만기 시 지급금은 이자 수익을 포함함 |
출처: 고용노동부,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
4. 지급 방식 및 신청 시기 (2023년까지 가입자 기준)
- 지급 방식: 공제금은 청년, 기업, 정부가 정해진 기간에 따라 나누어 적립하며, 2년 만기 시 청년에게 일시금으로 지급됩니다.
- 신청 시기: 신규 가입은 중단되었지만, 2023년까지 가입한 청년은 약정된 기간에 맞춰 공제부금을 납입해야 하며, 만기 시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를 통해 만기 공제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5. 신청 방법 및 제출 서류 (2023년까지 가입자 기준)
현재 신규 신청은 불가능하며, 기존 가입자의 만기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신청처: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(sbcplan.or.kr)
- 제출 서류: 만기 신청 시 온라인으로 4대 보험 가입확인서(가입 기간 동안의 재직 여부 확인용)를 제출해야 합니다. 통장 사본 등 추가 서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6. 청년내일채움공제 요약
항목 | 지원 대상 (2023년까지 가입자) | 지원금 (2년 만기 기준) |
---|---|---|
지원 목적 | 중소·중견기업에 신규 취업한 청년 | 장기근속 유도 및 자산 형성 지원 |
청년 납입금 | 매월 12.5만 원 | 총 300만 원 |
정부·기업 지원금 | 기업 지원금 300만 원 + 정부 지원금 600만 원 | 총 900만 원 |
만기 수령액 | 2년 근속 시 | 1,200만 원 + 이자 |
7. 정리 및 주의사항
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들의 중소기업 장기근속을 위한 매우 효과적인 제도였지만, 2024년부터 신규 가입이 중단되었습니다. 현재 2023년까지 가입한 분들만 기존 계약을 유지하며 만기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만약 신규로 목돈 마련을 원하신다면, 기존 내일채움공제,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등 유사한 성격의 다른 정부 지원 제도를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. 정확한 정보와 최신 내용을 확인하려면 반드시 고용노동부 또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문의하시길 바랍니다. 혹시 이 외에 궁금한 다른 정부 지원 제도가 있으신가요?
반응형